fnctId=departmentIntro,fnctNo=556
ARC1201 | 건축설계 1(Architectural Design 1) |
---|---|
건축에서 설계의 입문과정으로 형태 및 공간의 이해와 표현기법 및 도면의 작성방법을 익힌다. 3차원의 건축적 이미지를 2차원의 도면으로 표현하는 첫 단계인 건축제도에 관한 체계적 훈련을 목표로 한다. 또한, 2차원과 3차원 설계 기초를 이루는 질서의 기본 원리 및 건축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익힌다. 이를 통해 건축설계의 기본적인 능력을 함양한다. |
ARC1232 | 건축설계 2(Architectural Design 2) |
---|---|
수업은 크게 <1. 분석과 실험, 2. 프로젝트 수행>의 2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1. 분석과 실험(6주) : 건축가의 주택(해당 건축가 및 주택은 수업 시 배포함) 2. 프로젝트 수행 (10주) : 예술가의 집 <스튜디오 주택 > |
ARC2001 | 디지털미디어 2(Digital Media and Design 2) |
---|---|
라이노와 어도비 프로그램들을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표현방법을 연구 한다 |
ARC2002 | 디지털미디어 1(Digital Media and Design 1) |
---|---|
건축설계에서 요구되는 2차원 및 3차원 표현법을 CAD 및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습하고,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창의적인 발상을 위해 디지털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이론, 실습, 설계 스투디오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 프로젝트의 체계적인 연계를 통해 설계과정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응용범위를 탐구하고, 이러한 체계적인 이해와 습득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의 전략적인 응용방법을 습득한다. |
ARC2101 | 서양건축사(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
이 과목은 원시시대부터 시작하여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에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시대 및 장소의 구 분을 두어 각각의 건축양식의 발전요인이 되는 자연적·인문적·사회적·예술적 배경과 그 양식의 건축적 특성을 고찰한다. 이로 인해 건축 영역에 대한 이해와 과학, 기술R. Furneaux Jordan과 예술, 사회에 서 건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
ARC2102 | 한국건축사(Architectural History of Korea) |
---|---|
건축역사는 인간이 필요에 의해 구성한 구조물(shelter)에서부터 시작하여 주변 환경(물질적, 인문적)과 자신의 관계 속에서 추상적인 개념이 투영된 건축작품(Work)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는 학문이다. 한국건축사는 이러한 건축의 발생과 발달을 한반도를 중심으로 선사부터 근대까지 그 과정을 정치, 경제 등 인문적 역사환경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건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과정이다. 강의의 구성은 한국건축의 재료와 구조적, 환경적 특성에 기인한 독창성에 대한 이해를 1차적으로 선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궁궐 |
ARC2103 | 대지와 프로그램(Site Analysis and Program) |
---|---|
- 건축을 통한 인간의 장소적, 공간적 구축을 위해 물리적, 환경과 인간의 행태의 관계성을 대지와 프로그램을 통해 정의한다. - 이에 따른 이론적 방법론과 실무적 사례연구를 통해 정론화의 습득과정을 익힌다. - 장소와 건축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평면적 해석에서 입체적인 해석을 동시에 분석하고 조율하여 인간의 환경에 최적화를 목표로 한다. - 기능적인 프로그램의 적절한 과학적인 합리성과 기술적인 적용성을 바탕으로 건축화의 개념과 인문화적인 구성요소를 설정한다. - 개념 설정, 대지분석, 프로그램 분석, 다이어그램 작성, 시공성을 바탕으로 한 건축의 보편적 기준들의 규정과정을 학습한다. |
ARC2203 | 건축설계 3(Architectural Design 3) |
---|---|
Throughout the semester, we will explore about two residential projects. Each project is designed to explore fundamental architectural issues through a series of interconnected problems, with a focus on research and analysis exercise, tectonic form, spatial sequence, spatial organization, critical thinking and description, and basic skills of presentation technique, computer presentation, and so on. 1.From known to unknown (7 weeks) The first project of the semester is an analysis of some o |
ARC2204 | 건축설계 4(Architectural Design 4) |
---|---|
< PROJECT : STORE/STOREFRONT/STREET > The project focuses on the design of store/storefront/street where each student designs a store, storefront, and pedestrian walkways side by side in a busy commercial block. In the first part of the project, all students in the studio will collborate to design a block masterplan and design guildeline. In the second part, students will develop the design of a store and storefront in their individually assigned sites including open spaces and pedestrian wal |
ARC2301 | 건축구조원리(Principles of Structure) |
---|---|
구조역학강의는 학생들의 이론의 적절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시키면서 구조물의 이해에 주안점을 두면서, 초기의 개념부터 마지막 실제 구조설계과정을 통해 적용능력을 배양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구조물의 구조설계개념 및 기본 구조원리 (SPC 24) 2. 건축물의 구조재료와 재료선택의 영향요소 (SPC 30) 3. 재료와 힘의 관계/ 구조와 힘의 관계 (SPC 24) 4. 하중에 따른 효율적인 구조시스템 (SPC 25) |
ARC2302 | 건축환경계획(Environmental Control System) |
---|---|
본 강의는 건축환경공학 관련 이론강의와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건축물의 목적인 쾌적한 거주환경 조성과 관련하여 이를 구성하는 열환경, 빛환경, 공기환경, 음환경 등의 물리적환경인자에 대하여 기초 지식 및 관련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에너지 절약적 계획기법과 환경친화적 건축물 계획을 위한 기법 등을 이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건축물 계획을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
ARC2303 | 건축구조시스템(Structural Systems) |
---|---|
본 강의는 건축구조의 이론강의와 건축 구조계획 실무 분야 강의로 구성된다. 건축구조 이론강의에서는 구조원리, 개념, 구조시스템의 구성,재료구성, 규격 등을 강의하여 계획과 설계과정에 도입할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건축구조계획 실무분야에서는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전과정과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주요구조부 (기둥라멘도, 보 기둥 구조계획 등)의 구조계획 을 하여봄으로으써 건축 전문가로서의 도덕적, 실무적 역량을 발휘 할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
ARC3002 | 디지털디자인응용(Advanced Digital Design) |
---|---|
비정형건축물을 디자인하는 강의로써, 비정형건축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디자인툴의 활용밥법과 비정형공간을 분석하여 입체적인 공간설계를 진행하는 설계강의이다. 즉, 설계강의와 컴퓨터 툴강의가 혼합된 방식으로 진행된다. |
ARC3104 | 근대건축사(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
---|---|
This course is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our purposes, we need to include artists, builders, craftsmen, and architects who create the built environment. It will consist of an historical surve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mostly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up to now. The primary emphasis of this course will be to present historical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to review some of their underlying |
ARC3105 | 건축디자인방법론(Design Method and Analysis) |
---|---|
대지와 프로그램 그리고 건축적 재현이라는 큰 틀 속에서 건축조형의 과정과 보이지 않는 관계를 탐색한다. 건축은 현대에 이르러 더욱 혼란하고 다층적인 관계항을 해석하고 재조직하는 과정을 통하여 재현되고 있으나, 여전히 이 혼란의 진원지는 대지와 프로그램이라는 건축조형의 기본질료에 다름 아니다. 건축가의 사유에 의해서 재현된 통일체로서의 건축을 역사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이를 다양한 드로잉과 디자인 실험을 통해 경험을 증폭하고 의미를 생산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실험을 통 |
ARC3106 | 주거계획(Housing Design Theory) |
---|---|
This cours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backgrounds in house(single-family) and urban collective housing(multi-family). The seconde part is to execute a team-design practice of an urban collective housing project. Part I (12 weeks) Theories, researches, and selected precedents from modern to contemporary period will be introduced and case studied. Housing theories and issues will be introduced in the lecture/discussion session whi |
ARC3107 | 건축과 행태심리(Human Behavior and Psychology in Architecture) |
---|---|
인간의 행태에 관한 공간분석을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양 측면을 다루며 심리적 측면은 과학적,미학적 그리고 철학적인 내용들을 균형있게 다룬다. 초반에 추상적이고 비평적 내용을 주로 다루며 후반에서는 구체적 내용과 사례탐색(주택공간,사무공 간)및 개별크리틱등을 통해 적용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ARC3110 | 건축법규(Building Code and Regulation) |
---|---|
● 매주 건축설계실무를 위한 관련법의 체계와 내용을 배운다. ● 설계실무에서의 실제 법규검토와 적용의 사례를 배운다. ● 법규 관련 신문기사 이슈를 통해 건축제반법과 사회적 관계를 이해한다. |
ARC3205 | 건축설계 5(Architectural Design 5, Capstone Design) |
---|---|
건축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조합하여 환경과 용도에 적합한 건물을 조성하는 세부적인 과정을 다룬다. 예를 들어 기둥, 보, 슬래브, 벽 등의 구조와 함께 계단, 엘리베이터와 같은 동선의 요소들도 디자인의 대상이 된다. 이들의 조합을 통해 부분과 전체를 통합하는 건축적 재현과 시스템을 탐구하고, 설계의 초기단계부터 완결단계까지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정확한 도서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다양한 기능과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복합기능을 조합, 계획할 수 있는 능력과 주변의 환경적 |
ARC3206 | 건축설계 6(Architectural Design 6, Capstone Design) |
---|---|
수업은 크게 2단계로 나뉘어 프로젝트#01과 #02로 진행된다. 1. 프로젝트#01 (4주, 팀작업) ● 3반이 합반이 되어 4~5인의 팀을 구성하여 작업한다. 워밍업 단계로서 증개축 건축물의 사례, 대지, 기존건물의 분석에 관한 발표, 토론 및 연구로 진행된다. 이를 통하여 기존 건물과 증개축 설계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해를 한다. 또한 마지막 1주일간의 디자인 워크샵을 통하여 가능한 디자인 안들을 팀별로 발전시키고 제시한다. 이러한 협력 작업을 통하여 기존 건물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2. 프로젝 |
ARC3304 | 건축재료(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
---|---|
● 매주 각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건축에 사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해한다. ● 재료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며, 건물의 외피디자인의 기본적인 부분을 배운다. |
ARC3305 | 건축설비시스템(Build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System) |
---|---|
건물의 환경을 보다 위생적이며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건물의 각종 설비 시스템의 기본 원리와 설비 계획 방법 및 그 응용 기법 등을 강의한다. 에너지 절약을 위한 공조 시스템의 이해와 설계를 계획한다. 각종 설비 시스템의 정량적 해석과 응용 기법을 정립한다. |
ARC4001 | 건축 프리젠테이션과 포트폴리오(Architectural Presentation & Portfolio) |
---|---|
구조물로서의 건축물을 착안하기 위해 건축가가 어떻게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를 디자인으로 구체화시켜 사용자들과의 효율적인 소통을 이루는가를 탐구하는 수업이다.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단초로서 문화, 사회와 역사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어떻게 아이디어 및 개념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지 등의 조건과 관점을 전달하는 과정을 답습한다. 또한 자신의 능력을 전달하는 최초 서류로서 포르트폴리오 작성에 대한 철학 및 방법을 습득하고, 구두발표에서의 전략 및 담론 유도 능력을 체득하며, 그래픽과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감각적, 지각적, 지적 소통 기술을 습득한다. |
ARC4110 | 건축이론(Architectural Theory) |
---|---|
20세기를 바탕으로 21세기의 건축담론을 다루는 본 강의에서 사용될 도구는 개념들이다. 현대 건축의 형식은 선택된 주제의 대립적 구도 측면에서 다루어지며 건축개념 및 건축창작의 근본과 형식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현대건축은 끊임없는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인식적 사고의 진화를 거듭하기에 본 수업의 건축이론에서는 건축의 현실적인 문제와 환타지의 가능성이 공존하는 사회성의 속성을 건축의 이론으로 정립해보고자한다. |
ARC4111 | 도시계획(Urban Planning(Capstone Design)) |
---|---|
도시계획의 개념, 이론, 계획요소, 최근변화동향, 성공사례에 대한 이론강의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도시계획 프로젝트 사례분석 및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마을만들기 기본계획(안) 작성 실습 |
ARC4112 | 건축과 사회(Architecture and Society) |
---|---|
본 강의는 전반기의 건축사회학 이론 강의와 후반기의 건축실무 전문가들의 건축실무분야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1. 건축사회학 이론 강의(전반기) 건축사회학 이론 강의에서는 인간의 사회, 문화적 관계, 관습, 제도가 건축 공간의 구성과 조직에 반영된 다양한 양상들을 이론과 건조건물의 실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공간과 사회문화의 상호관계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고 이 둘의 관계들 매개하는 다양한 공간 구성 방식에 대해 통시적, 공시적으로 학습한다. 2. 건축실무분야 강의(후반기) 건축설계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의 |
ARC4113 | 현대건축(Contemporary Architecture) |
---|---|
현대건축을 이해함에 있어 동시대 건축가들의 사고와 그들의 작품은 그 시대적 흐름이나 건축적 사고의 틀, 다른 예술분야와 과학 기술의 발전 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실제 현대건축을 바라보는 시각을 보면 종종 단편적이거나 일시적 현상에 근거한 오브제로서, 첨단기술(hi-tech), 생태학(ecology), 대중매체(mass-media), 사회경제학(socio-economic)에 입각한 개념들과 많은 관련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강의는 현대건축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여러 경향들 중 몇 가지를 주제로 잡고 그 맥락 안에서 현대건축의 흐 |
ARC4115 | 실내건축계획(Interior Design Theory) |
---|---|
To bring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interior design, we are going to fulfill a lot of pilot projects and the procedure of interior design would be instructed in these projects. Each of project will contain the various issues such as commercial, clutural, social and even political. And during the project, individual advices will be given to the strudents. Students should prepare the design material in the consideration of presentation and the presentation would be made with English. The |
ARC4116 | 도시설계(Urban Design) |
---|---|
Urban deisgn is about creating a vision for an area and then deploying the skills and resources to realize that vision. Within this course students could obtain key academic and professional abilities such as context analysis, independent thinking, visualization and communication. |
ARC4207 | 건축설계 7(Architectural Design 7, Capstone Design) |
---|---|
This course aims at enhancing the student’s experience in a selected city through a cross discipline design workshop where work in class, research and visits to significant sites of the city are combined. The project, developed in class under the guidance of the instructors, is meant to stimulate our students to interact with the essence of the selected city life and/or sites of importance emphasizing the Singaporean approach to housing design, and vice versa. Students will be confronted dur |
ARC4208 | 건축설계 8(Architectural Design 8, Capstone Design) |
---|---|
연구, 분석 그리고 계획 및 설계과정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 연구과정에서는 대상지가 위치한 대지의 조직구조, 문화적, 역사적 맥락 나아가 기술적인 시스템에 관한 토론, 연구 및 분석으로 진행된다. ● 분석과정에서는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광범위하게 분석하며 관련 건축물의 유형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기로 한다. 또한 통합설계의 관점에서 광범위하게 분석하며 유사한 기존건물 및 동일 프로그램의 건축물 유형에 관한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건축프로그램의 작성방법과 공연장 구성방식 등에 관한 분석을 함게 진행한다. 이러한 기본 연구를 바탕으로 설계를 진행해 나간다. ● 계획 및 설계과정에서는 안전 및 방재에 관한 기본 시스템을 이해하고 나아가 건축물의 구조 외피 구축방법, 기계, 전기 등의 건물시스템의 기본사항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실무적 개념에서의 도서작성 능력을 배양하며 건축설계에 적용해 본다. ● 설계수업의 대상지는 해외의 전통성과 지역성이 있는 도시이고, 문화예술 및 체험 |
ARC4209 | 건축설계 9(Architectural Design 9, Capstone Design) |
---|---|
건축설계 5-1은 학생들이 설정한 설계 주제를 스스로의 방식으로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졸업설계논문의 1차 과정이다. 학생 각자는 대지와 주제에 연관하여 진정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회적 도시적 현상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개념적 대안과 전략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 과정은 설계 5-2에서의 논문작성을 위한 고찰과 개재(investigation & intervention)의 연관관계를 모색하는 단계로서, 설계 주제의 설정과 대지의 선정이 설계 작업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건축설계 5-1에서는 지도교수와의 토의를 통해서 주제 및 |
ARC4306 | 건축시공과 관리(Construction Process and Management) |
---|---|
- 건축시공에 필요한 공법의 이해 - 건축공종의 이해 - 철근 콘크리트공사의 이해 - 증,개축,보수 유지관리 설계의 이해 - 시공재료 및 부품의 이해 - 재활용 및 유해방지 - 시공절차 및 건설관리의 이해 |
ARC4307 | 친환경건축(Sustainable Architecture) |
---|---|
understanding of nature, phenomenology and technology toward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readings, case studies, and student research This course consists of two parts: Part 1 (8 weeks) :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background in Sustainable Architecture Part 2 (8weeks) : exploring of technologies in Sustainable Architecture - Computer Energy Simulation - Environmental Systems - Building Service Systems |
ARC4308 | 빌딩시스템(Building System Integration) |
---|---|
건물을 구현화 시키는 과정에서 구조, 재료, 설비, 방재등 각종 건물시스템의 역활과 상호관계를 건축설계자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건축물의 구현에 필요한 전반적인 필요 조건들을 평가하고 이를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과 지식을 습득한다.따라서 본 과목에서 다루는 빌딩 테크놀리지는 엔지니어링의 영역이라기 보다는 건축설계과정에서 분별능력에 일조하는 도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강의는 이러한 능력을 습득하는 방법으로 일련의 강의와 케이스 스터디,및 통합설계의 워크샾형식을 적용한다. |
ARC4309 | BIM설계와 시공(BIM Design and Construction(Capstone Design)) |
---|---|
본 강의는 BIM 설계환경의 학습을 통하여 실질적인 활용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건축가에게 있어 디지털도구의 역할을 이해하고 설계단계별 BIM 응용 기술을 알아보며 이를 프로젝트에 단계별로 적용함으로써 BIM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강의와 디지털도구의 컴퓨터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
ARC4310 | 디자인테크놀러지(Design Technology) |
---|---|
본 수업은 새로운 기술을 융합한 최근의 디자인 이슈를 다루며,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디자인과 기술에 융합 가능성에 대하여 심도있게 탐구한다. |
ARC4311 | 건축과 조경(Landscape Architecture) |
---|---|
본 강의는 사이트 특정적인 문제를 발굴하여 자연 및 도시 환경을 분석하고 사이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랜드스케이프 플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제공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필수 요소와 계획 과정을 포함하여 경관 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얻게 될 것이다. 조경 및 경관 계획에 건축을 통합하는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계발하고 다양한 사이트 특정 상황을 고려한 건축 계획을 이론과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실현해본다. |
ARC4313 | 환경성능융합 디자인(Performance-based Building Design) |
---|---|
본 교과목은 환경 시뮬레이션 응용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 설계, 성능분석 및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친환경 건축설계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업의 주된 내용은 환경 시뮬레이션 구조의 이해와 응용이며 computational design 방법과의 융합을 통해 건축, 조경, 도시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경험하게 된다. |
ARC4406 | 건축실무(Professional Practice) |
---|---|
건축사로서의 책임과 윤리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관리 및 사무소 관리에 대해 이해하며 제반법령의 해석과 적용방법을 이해한다. |
ARC4420 | 건축설계 10(Architectural Design 10, Capstone Design) |
---|---|
건축설계10은 졸업설계의 2차 과정이다. 학생 각자는 대지와 주제에 연관하여 진정한 문제의식을 가 지고 사회적 도시적 현상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개념적 대안과 전략을 제시하여야 한다. 건축설계9에서의 과정을 바탕으로 설계보고서 작성을 위한 고찰과 개재(investigation & intervention)의 연관관계를 모색하는 단계이다. 또한 지도교수와의 토론을 통해서 설계 결과물의 도서작성을 제시하기까지의 전 과정을 독립적으로 진행한다. 학생 각자는 주어진 건축적 담론을 더욱 심화시키는 노력을 통해 독립적 사고 및 정보종합능력, 건축 관련 지식 및 연계과목 학습을 병행하며 통합적인 설계능력과 이론의 틀을 구축해 나가도록 한다. |
ARC9406 | IPP 현장실습 3(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
---|---|
ARC9408 | 건축,도시 현장실습 1(Architecture,Urban Internship 1) |
---|---|
ARE1403 | 건축공학개론(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Engineering) |
---|---|
건축공학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한 신입생들에게 건축공학의 세부분야를 소개하고 이를 통한 이해도 향상을 목표로 한다. |
GEB1107 | 의사소통 영어(English Communication: Pre-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초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8 | 의사소통 영어: 중급(English Communication: 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중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9 | 의사소통 영어: 고급(English Communication: Advanced)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고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12 | 크로스오버 1 : 인간의 탐색(Crossover Course 1: Humanities) |
---|---|
인문학은 학문의 영역인 동시에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서 쉼 없이 역동하는 원초적인 탐구정신이다. 그것은 자기가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고 나아가 어떤 존재로 살아갈 것인지를 결단하려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에서 출발하여, 문학, 역사, 언어, 사회, 도덕, 문화와 예술 등 인간 정신의 다양한 산물에 대한 성찰로 전진한다. 이런 인문학의 정신은 자연을 이해함으로써 그것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배하려는 과학기술의 정신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이 강의는 특히 이공계의 학생들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이처럼 중요하고 필수적이면서도 결핍되어 있기 쉬운 인문학적 정신을 자기 자신에게서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강의에서 수강자는 자아, 공동체, 옳고 그름, 학문, 예술 같은 인문학적 주제들에 대해 읽고, 생각하고, 묻고, 그리고 생각한 것을 말하거나 글로 쓰는 연습을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 지식과 더불어 인문적 감각을 갖추게 될 것이다. |
GEB1114 | 크로스오버 3 : 사회의 탐색(Crossover Course 3: Economics, Business and Law) |
---|---|
1. (경제학) 개인의 행동에 관한 7개 원칙,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7개 원칙, 경제 전체의 구성에 관한 7개 원칙, 금융 및 국제경제에 관한 7개 원칙들로 구분하여 경제학과 경제학적 사고방식을 강의한다. 2. (경영학) 구성원들의 노력을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과정으로 경영의 중요성과 유능한 경영자의 자질, 시장 지향적 고객중심 경영을 위한 마케팅의 여러 측면과 관리, 재무적 관점에서의 경영을 위한 포트폴리오 이론 등을 강의한다. 3. (회계학)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 등 재무 제표를 포함한 회계 정보를 어디서 얻고, 어떻게 이해하고, 특정한 판단과 선택을 위해서 회계 정보를 어떻게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무엇에 주의해야 하는지를 강의한다. 4. (법학) 자유와 책임, 개인간 자유의 상충에 관한 민법적, 형법적 제재와 소송 제도, 계약과 계약이행의 책임, 약자의 보호를 위한 정의와 이를 위한 장치로서 법의 역할과 한계를 강의한다. |
GEB1116 | 프로네시스 세미나(Phronesis Seminar) |
---|---|
본 교과목은 신입생들이 바람직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신입생 대상 기초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가치 있는 삶의 목적을 수립하고, 성실한 자세로 도전하여 미래를 열어나가는 데 역점을 두며(온라인 인성교육),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토대로 졸업 후의 경력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오프라인 진로교육). |
GEB1126 | 문제해결을 위한 글쓰기(Writing and Problem Solving) |
---|---|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학술적 글쓰기 및 실용적 글쓰기의 이론과 방법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실습을 통해 향상시켜 대학에서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고 사회에서의 활동을 능독적으로 할 수 있는 교양인을 양성하는 데에 강의의 주안점을 둔다. |
GEB1142 | 미래사회와 소프트웨어-이공계열(Software and the Future Society-for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
---|---|
미래사회의 필수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적 사고력은 여러 학문 분야의 창의적 생각들을 융합의 바탕위에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 소양이다. 컴퓨팅적 사고를 기반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IT기술과 정보환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전공 기반위에서 새로운 융합 기술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스마트 모빌리티, 가상·증강현실,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등의 주제를 통해 그러한 능력 배양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
MTH1001 | 일반수학 1(Calculus 1) |
---|---|
일반수학 I은 고등학교에서 배운 함수의 극한, 연속, 미적분과 그의 응용들을 살펴보고 대학수학에서 기본적으로 다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함수의 미분과 적분의 기법을 배운다. 나아가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에 대한 여러 가지 판정법을 다루고 난 후, 함수의 멱급수 표현인 테일러 급수와 이와 연관된 내용들을 배운다. |
PHY1001 | 물리학 1(Physics1) |
---|---|
역학의 기본이 되는 뉴턴의 법칙을 중심으로 그 원리를 이해하고 물체의 직선 및 곡선 그리고 원운동을 해석하는데 적용시키며 강체의 운동과 고체, 유체 및 파동 등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기체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열 물리 기초를 공부한다. |
PHY1003 | 물리학실험 1(Physics Lab.1) |
---|---|
기초 물리학의 기본이 되는 이론과 이론의 실제적 상황에 대한 적용을 이해한다. 1) 예비보고서 작성을 통해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2)본인이 직접 실험실습 과정에 참여하여 실제 상황을 체험하고, 3) 결과보고서를 통하여 이해한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체계적인 지시고가 경험을 습득한다. |